본문 바로가기

learn6

더 효과적인 흑백 사진을 만드는 닷징과 버닝 더 효과적인 흑백 이미지를 만드는 닷징과 버닝(원제 : Dodging and Burning to Create More Effective Black and White Images)                                                                                                          written by Alex Morrison 요즘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버닝과 닷징은 낡은 기술로 치부되기도 한다. 하지만 버닝과 닷징은 안셀 아담스(Ansel Adams)에서부터 이모젠 커닝햄(Imogen Cunningham)에 이르기까지 대가들이 애용해온 매우 유서 깊은 암실 기법이기도 하다.   닷징과 버.. 2024. 9. 24.
훌륭한 흑백 사진을 위한 닷징과 버닝 테크닉 훌륭한 흑백 사진을 위한 닷징과 버닝 테크닉(원제 : How to dodge and burn in Photoshop for brilliant black and white edits)                                                                                 written by James Paterson, PhotoPlus, 2021' 5  사진의 일부를 닷징하거나 버닝하는 기술은 백여년이 넘도록 사진의 매우 핵심적인 기술이었다. 필름 시대에는 인화할 때 확대기의 빛을 막아서 닷징을 하거나, 빛이 특정 영역에 더 들어가게 만들어 버닝을 할 수 있었다. 이제 우리는 Photoshop의 닷지, 번 도구를 사용하여 이 기술을 매우 쉽게 사용할 .. 2024. 9. 24.
피사계심도 눈금과 과초점거리 [Lens Depth of Field Scales & Hyperfocal Distance] by Nick Carver 1. 피사계심도 눈금 활용하기- 렌즈가 어디에 초점이 맞추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SLR, TLR, RF 등)-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어떤 조리개값을 사용해야 하는가? 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음- 초점이 맞아야 할 가장 가까운 거리의 물체에 초점을 맞춘 다음, 그 거리가 얼마인지 확인하기 (예 : 10ft)- 초점이 맞아야 할 가장 먼 거리의 물체에 초점을 맞춘 다음, 그 거리가 얼마인지 확인하기 (예 : 30ft)- 이제 초점링의 기준점이 10ft와 30ft의 정확히 가운데 오도록 조정하기. 이때 중요한 것은 10과 30의 중간 숫자인 20에 두라는 것이 아니.. 2024. 1. 14.
사진의 구성과 스토리텔링 [Composition & 'Telling a Story' with Your Photography]  by Nick Carver 1. 구성은 움직임 - 그림(인물화/ 정물화)에서는 피사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도를 자신의 의도대로 변경하기가 용이함. 하지만 풍경사진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나' 뿐인 경우가 많음- '구성은 움직임'이다. 더 잘 움직여야 더 나은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주변을 움직이며 사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발을 더 많이 움직였을 때 더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초보자의 가장 흔한 실수 :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진 장소에 도착해서, 바로 그 자리에 삼각대를 펼치고 촬영을 한다. (주변을 탐색하지 않음)- 화면을 구성할 때 Nick Ca.. 2024. 1. 14.
필름으로 야경 촬영하기 : 노출 측정 방법과 접근 방법 [How to Shoot Film at Night : My Metering Techniques & Approach] by Kyle McDougall 1. Daylight일반적인 주광 상황에서는 Mid Gray에 해당하는 영역을 찾고, Highlight와 Shadow가 그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 측정한다.  2. Night time밤에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조명이 비치는 부분은 매우 밝고, 그늘진 곳은 매우 어두운 극단적인 컨트라스트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야간에서의 Shadow는 그냥 검정색으로 나오더라도 별 상관이 없다. 때문에 야간에는 Zone V에 해당하는 Mid Gray를 찾는 것이 아니라, Zone VII(Zone V보다 2스탑 더 밝은)에 할당.. 2023. 6. 14.
Exposure Compensation Table for Colour Photography 2021. 12. 20.